#1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7 Page)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욕망에서 서원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힘은 욕망인가? "욕망을 버려라!" "욕망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님들의 설법 속에서나, 절에 가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말이다. 그리고 불자들에게는 당연히 그래야 할 것처럼 들리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렇게 물어볼 수 있지 않을까?   "욕망을 버리고 나면 무슨 힘으로 살아가나요?"  일반적, 평균적인 사람에게는 욕망이 바로 삶을 끌고 나가는 힘이다.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욕망이야말로 사회 자체를 움직이는 힘이기도 하다. 자본주의의 근본 전제는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라고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문제는 존재하지도 않는 욕망을 끊임없이 만들어냄으로써 인간은 욕망의 노예가 되고,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것보다 몇 배나 더 소비함으로써 자연과 환경을 파괴한다는 ..

2025. 4. 9. 14:14
카테고리 없음

선불교에서 보는 욕망

진흙이 없으면 연꽃도 없다  따스한 봄바람 막힘없어 (春風無隔意) 붉은 꽃 하얀 꽃 도처에 피어난다 (紅白各隨生) 이 이치를 누가 능히 알겠는가 (此理誰能知) 이 도리 안다면 도는 더욱 밝으리 (答來是道明) - 만암 스님(1876~1957)  그대가 지혜와 자비를 갖춘 선의 스승이 되면 봄바람처럼 만나는 모든 이들을 깨달음으로 이끌고 꽃처럼 피어나게 할 것이다. 만약에 그대가 봄바람을 기다리는 나무가 된다면 그 마음은 어떠할까?  마음을 해체해 연구한 불교 스승들 『대승기신론』에는 '불교의 근원은 중생심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중생의 욕망이나 번뇌와 망상이 없으면 당연히 부처님의 가르침도 필요가 없다. 중생심이 있기에 팔만사천 법문과 많은 수행법이 있는 것이다.   욕망을 비롯한 번뇌심은 이미 2,600..

2025. 4. 8. 19:49
카테고리 없음

현대 불교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 참여

소극적 이미지에 대한 고찰 불교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언가 적극적 이미지보다는 소극적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 불교에 대한 일반적 인상은 적극적인 이미지, 곧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서 자기 목소리를 낸다는 쪽보다는 조금 소극적이지가 있다. 곧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세상에 은둔하고 한가롭게 지낸다는 인상이 강하다.   이처럼 불교가 소극적인 인상을 갖게 된 것은 불교사상의 전반적 기조에 근거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동안 불교문화에서 적극적인 면이 적게 나타난 것은 그 시대적 배경과도 일정 부분 관련이 있다. 전제적 왕권 시대에 활발한 사회 참여는 결국 정치에 참여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중앙 왕실에 좋지 않게 보이면 불교 교단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2025. 4. 8. 17:36
카테고리 없음

한국 불교의 사회참여 역사와 성찰

불교의 사회참여에 대한 개념적 이해 1990년대 이후 한국 불교계에서도 '불교의 사회참여'에 대해 많은 논의가 진행 되었다. 민주화 이후 급속히 성장한 시민사회와 그들에 의해 전개된 사회운동이 불교계에 투영된 결과였다. 당시 불교계는 이들의 자극을 받아 사회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이런 현상을 일반적으로 불교의 사회참여라고 받아들였다.   다시 말해 한국 사회에서 불교의 사회참여는 1990년대 이후 불교계에 의해 진행된 다양한 사회운동을 지칭하는 것이었고, 이런 인식은 아직도 유효한 것 같다. 이런 맥락에서 불교의 사회참여는 불교 사회운동으로 이해해도 무방하다.   모든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겠다는 불보살의 서원 속에는 불교가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생명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일체를 해결해야 할 문제로 간..

2025. 4. 7. 12:45
카테고리 없음

불교에서 말하는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의 어원과 서구에서의 정의 '정의(正義)'라는 말은 근세 일본에서 'justice', 'Gerechtigkeit'의 번역어로 등장해 동양에서 통용되고 있다. 한중일에 '정(正)'과 '의(義)'의 개념은 있었지만, 정의는 '올바른 해석 • 번역'을 뜻하는 말이었는데, 위 서구어의 번역어로 사용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justice'나 'Gerechtigkeit'에 대해서는 성서와 그리스-로마의 정치 • 법률학으로부터 오늘날의 철학 • 정치학 • 법학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의견이 있는데, 정(正) • 의(義)의 글자를 통해 그 의미 내용을 정할 수는 없다. 예컨대 법(法)은 서양의 의회제도와 직결된 'law', 'Gesetz'의 번역이어서 물 수(水) • 해태 치(廌) • 갈 거(..

2025. 4. 7. 11:43
카테고리 없음

대만 불교의 국제화 활동과 방향

여러 전통의 불교 유입과 종교 환경 다양화 불교의 국제화를 거론할 때,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남방불교와 티베트 불교는 오늘날 구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남방불교는 위빠사나 수행으로 대변되며, 티베트 불교는 달라이 라마 등 종교 지도자들의 활동이 평화와 행복이라는 인류 공동의 가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세계적으로 상당히 호응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들 전통 이외에 대만 불교의 성장 과정에 주목하면서 우리 불교계를 살펴보려는 불교계 인사들과 연구자들도 적지 않다.   1980년대 중반 이후로 대만 사회에는 세계 종교들의 활동이 늘어나고 남방불교, 티베트 불교, 일본 불교 등 여러 전통의 불교가 유입되면서 종교 환경이 다양화되었다. 남방불교에 대한 지식인들의 사상과 수행의 관심이..

2025. 4. 6. 17:36
  • «
  • 1
  • ···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
  • 50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