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0 Page)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팔정도의 시작점에 정견을 둔 까닭

'나'부터 바로 보라는 경전 완전한 평화와 행복이 가득한 열반의 땅을 향해 뚫려 있는 팔정도의 여덟 가지 덕목인 정견 • 정사 • 정어 • 정업 • 정명 • 정정진 • 정념 • 정정의 각각을 우리의 몸에 대비시켜 보자. 정견(正見)은 눈이요, 정정(定正)은 발이며, 나머지 여섯은 오장육부 등의 몸에 해당한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자. 만약 눈이 없다면, 열반의 땅으로 올바로 나아갈 수 있을까? 못 갈 것이다. 설혹 간다고 해도 너무나 힘이 들 것이다. 그러므로 길을 바로 볼 수 있는 눈을 잘 지니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곧 정견은 사성제의 고멸성제(苦滅聖諦, 열반)에 이르는 출발점이요, 끝까지 의지해야 하는 나침반과 같은 것이다. 한마디로 정견이 없으면 열반의 땅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에, ..

2025. 4. 1. 12:02
카테고리 없음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고려불교와 조선불교)

국가 및 사회적 제도로 정착된 고려 불교 건국 초기 고려 불교는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되었다. 여러 가지의 법회, 법석, 도량 재의 등을 통해 사회적 난제와 외적의 침입을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구제하고 해결하고자 했다. 그것이 진호국가(鎭護國家) 불사다.   고려 시대 불교는 국가적 제도로 편입되어 발전의 토대를 이룰 수 있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승과, 왕사 • 국사 제도, 그리고 승록사와 같은 승직을 들 수 있다.   고려 불교가 사회적으로 확장되는데 기여한 것은 종파의 설립이다. 대각국사 의천은 고려 문종의 아들로 태어나 13세에 우세승통(祐世僧統)이 되었다. 많은 전적을 열람하면서 해동의 많은 법사가 남긴 기록에 억설이 많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유학을 떠났다. 요나라 • 송나라 ..

2025. 3. 31. 16:59
카테고리 없음

한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삼국시대와 신라불교)

삼국 시대 불교 전래와 발전한국 불교는 4세기 초 삼국 시대에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 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372)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사신을 보내면서 순도(順道)와 불상과 경문을 보내온 것에서 시작한다. 이어 374년 아도(阿道)가 오고, 375년 2월에 소문사와 이불란사를 세워 두 스님을 머물게 했다.   고구려에 불교가 들어온 후 20여 년이 지난 고국양왕 때 백성들에게 "불법을 숭신해 복을 구하라" 라는 명을 내렸다. 불교 신앙이 국가적으로 권장되었고, 불법이 복되게 사는 가르침으로 이해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후 제19대 광개토왕 2년(392)에 평양에 아홉 개의 사찰을 세우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백제는 제15대 침류왕 원년(384) 9월 인도의 스님 마라난타(摩..

2025. 3. 31. 16:07
카테고리 없음

세대 화합의 길로서의 중도, 그리고 화쟁사상

사회 갈등은 언제, 어디서나 천차만별 사회 갈등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 개인 사이의 사소한 감정적 갈등부터 국가 사이의 전쟁까지 갈등이 발생하는 층위도 천차만별이다. 그중에서 개인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려워 사회적 차원의 개입이 필요한 갈등을 흔히 사회문제라고 한다. 사회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면 사회가 해체될 수 있으므로 모든 사회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일부 사회학 이론에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회가 발전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한 사회 문제는 상대적이라서 바라보는 관점이나 입장에 따라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똑같은 현상이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이해된다.   출산율이 높던 1960년대에 다자녀 출산은 사회문제였지만, ..

2025. 3. 31. 14:50
카테고리 없음

중국 불교의 역사와 흐름

후한 말 사회 혼란기 때 불교가 전해지다 B.C. 6세기 무렵 인도에서 브라만교에 대항하는 혁신 사상으로 시작된 불교는 기원 전후인 후한 말, 중국 사회가 혼란한 시기를 맞아 중국에 전해졌다. 불교 전래는 『위서(魏書』「서융전」에 "서한 애제 원년(.B.C. 2년)에 서역 시방 재월지국의 사자인 이존이 박사 제자 경로에게 불경을 구두로 전해주었다"라는 구절을 근거로, 기원 전후의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교와 관련된 몇몇 용어들이 불경이 한역되기 이전에 이미 음역의 형태로 중국인에게 알려졌다. 붓다를 뜻하는 '불(佛)'도 그중의 하나인데,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바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중앙아시아를 경유해서 들어온 것임을 보여준다.   인도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ha)'..

2025. 3. 30. 12:35
카테고리 없음

명상 수행의 즐거움

즐거움을 제대로 분별할 줄 알아야 한다 여기 두명상 수행자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첫 번째 수행자는 어느 날 앉아 있는 동안 시공(時空)이 끊어진 깊은 삼매를 경험했다. 마음이 밝아지고 삼라만상이 이해되는 체험이었다. 이 경험을 한 이후로 그는 명상할 때마다 마음을 한곳에 모아 집중해 일심(一心)을 재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높은 차원의 명상 경험은 다른 한편 우월감을 일으켰고 결과적으로 그는 사람들에게서 멀어졌다. 즉 희마(喜魔, 즐거움에 빠져 마구니가 끼는걸 모른다)에 빠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두 번째 수행자도 꾸준히 명상을 수행했다. 비록 그는 수련하는 동안 심일경성(心一境性)의 삼매 경험을 한 번도 해본 적은 없었다. 하지만 대신 자신의 호흡과 몸의 느낌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더 많은 ..

2025. 3. 30. 11:08
  • «
  • 1
  • ···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
  • 50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