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9 Page)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일본 불교의 특징과 역사

현재 156개의 불교 종파가 활동 538년(또는 552년) 백제에 의한 불교 전래 이래 반세기가 훨씬 지난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시대에 이르러 기본 토대를 마련한 일본 불교였다. 나라 시대의 남도육종(南都六宗)과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 및 진언종 성립을 거쳤다. 그리고 중세 가마쿠라 시대의 이른바 가마쿠라 신불교 제종파의 등장을 통해 독자적인 특성을 띠게 되었다.   패전 전까지는 법상종, 화엄종, 율종, 천태종, 진언종, 융통염불종, 정토종, 임제종, 정토진종(淨土眞宗), 조동종(曺洞宗), 일련종(日蓮宗), 시종(時宗), 황벽종(黃檗宗) 등의 13종 56파가 있었는데, 패전 후 1951년 '종교법인법'이 성립된 이래 2022년 말 현재 156개의 불교 종파가 활동하고 있다.   나라 시대(710~794..

2025. 4. 3. 12:04
카테고리 없음

구업 소멸을 위한 불교 심리 치료와 묵언 수행

어업명(語業命)의 출발점인 정어(正語) 부처님께서 설하신 팔정도 수행은 코끼리 발자국에 비유된다. 나머지 모든 수행법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팔정도를 제외한 『삼십칠조도품』에는 정어, 정업, 정명이 없다. 어업명(語業命)으로 인해서 팔정도 수행은 나머지 어떤 수행법보다 포괄적이게 된다.   어업명은 인간의 모든 유위법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어(語)는 당연히 말로 짓는 업을 말하고, 업(業)은 행동으로 짓는 업을 말하고, 명(命)은 사회적 관계에서 짓는 업을 말한다. 팔정도 수행에서는 인간의 모든 측면이 수행과 연관된다.   올바른 관점을 가지는 것, 올바른 사유 패턴, 언어 패턴, 행동 패턴, 관계 패턴을 가지는 것이 모두 불교의 궁극 목표를 성취하는 것과 연관이 된다.   정어(正語)는 잘못된 언어..

2025. 4. 3. 10:07
카테고리 없음

불교에서 말하는 거짓말의 과보

사실 아닌 것을 말해 업을 짓는 것 거짓말은 사실이 아닌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 것을 그렇지 않다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그렇다고 하는 것이 거짓말이다. 『대지도론』에서는 거짓말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거짓말은 부정한 마음으로 남을 속이고,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사실 아닌 것을 말하여 업을 짓는 것이다."  한마디로 나쁜 마음으로 남을 속이거나 사실대로 말하지 않는 것이 거짓말이다. 거짓말의 의도는 사실을 사실대로 말하지 않는 것으로 자기의 이득을 취하려는 것이다. 자기의 이득이란 재물이나 명예, 그리고 단순히 거짓말을 하므로써 남들이 속는 것을 보고 재미를 느끼는 경우도 있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것은 말을 하고 글을 써서 자기의 의사를 표시하는 능력이다. 그런 능력으로 인간은 뭇 중..

2025. 4. 2. 10:27
카테고리 없음

말을 조심해야 하는 뇌과학적 이유

신경세포의 일종인 궁상다발로 이루어진 두뇌 루프 현생 인류가 20만 년 전에 지구에 출현해 지배종으로 성장하기까지 가장 중요한 바탕은 언어 소통 능력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는 언어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사고를 표현하며 사회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른 동물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점이다.   물론 동물도 짧은소리를 통한 소통 방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인류가 가지고 있는 정교한 문장 구성에는 미치지 못한다.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는 단어를 연결할 수 있고 주어, 동사, 목적어 등의 순서에 의해 정보를 세부적으로 달리 표현할 수 있다. 단어의 악센트를 달리해 화자의 감정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류의 언어 소통 능력은 고도로 진화한 뇌에서 비롯된다.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영..

2025. 4. 2. 09:37
카테고리 없음

사람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사실을 일부러 말하지 않는 생략도 포함 사람들은 평소 알게 모르게 많은 거짓말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미국의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과 일반인들이 하루 일과 후에 그날 있었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상세히 기록한 것을 보니, 하루에 한두 번은 거짓말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거짓말은 사실이 아닌 것을 꾸며내어 말하는 것(작화, 作話)뿐만 아니라 사실을 일부러 말하지 않는 것(생략, 省略)도 포함한다.   거짓말은 자신이나 타인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또는 손해나 처벌을 회피하기 위한 동기에서 비롯된다. 남의 신체나 재산에 피해를 준 범죄자가 범행을 부인하고 변명하는 것은 처벌을 피하기 위한 '작화' 형식의 거짓말이다. 타인의 부정 행위를 알면서도 모른 척하는 소극적인 거짓말은 타인을 보호하거나 자신의 관여를 ..

2025. 4. 2. 08:46
카테고리 없음

부처님의 마음으로 행하는 순수한 종교적 행위-무아(無我)

무아에 대한 오해 무아(無我)는 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의 하나이다. 하지만 무아는 가장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교리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실제로 불교가 서양에 전해진 후, 많은 사람이 무아의 교리를 '나'라는 존재가 없다고 말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불교는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허무주의 종교라고 단정하고 노골적인 거부감을 표하기도 했다. 다행히도 불교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무아의 교리에 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일반 대중의 무아에 대한 오해가 풀리고 있다.   간단히 낱말을 뜻풀이하는 방식으로 무아를 해설하게 되면, 단지 '나'라는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뜻만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이렇게 단순하게 무아를 설명한다면, 그것은 '당신이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해도 어쩔 수 없죠'..

2025. 4. 1. 13:30
  • «
  • 1
  • ···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
  • 50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