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2 Page)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알아차림 뇌가 강해지는 불교 수행

인식 과정에 번뇌가 끼어드는 것 알아차릴 수 있다 붓다는 마음이 어떻게 생성되고 작동하는지 그 원리를 훤히 꿰뚫어 보고 번뇌의 마음을 열반의 마음으로 바꾼 마음 공학자였다. 마음은 뇌의 영역이기에 그는 위대한 뇌과학자이기도 했다. 붓다는 마음 공간에 마음 거울(意根, mano), 식(識, 알음알이, vinnana), 기억 이미지, 사띠(알아차림)가 있고  이들의 유기적 작동에 의해 마음이 일어남을 알았다.   그런데 '있는 그대로' 순수한 이미지로 마음 거울에 맺힌 상을 왜 '있는 그대로' 마음 공간에 현현(顯現)시키지 못하고 번뇌로 오염시킬까? 범부의 기억 이미지는 번뇌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이다. 번뇌로 오염된 기억 이미지는 번뇌의 마음으로 현재의 인식 대상을 보게 한다.   그렇게 경험한 대상은 번뇌..

2025. 3. 26. 12:51
카테고리 없음

명상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인간의 특정한 정서, 인지, 행동을 반영  뇌는 전기적 신호와 화학적 신호에 의해서 활동하기 때문에 그 활동에 따라서 특정한 뇌파가 발생한다. 뇌파(brainwave)는 대뇌피질에 있는 수많은 피라미드 뉴런들의 수상돌기의 시냅스가 흥분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전류이다. 뇌파는 뉴런에서 발생한 전기 활동의 총합을 체외로 도출한다. 그리고 이를 증폭해 전위를 x축, 시간을  y축으로 해 두피에서 기록한 것이다.  즉 뇌파는 뉴런들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동기화된 시냅시 이후 활동 전위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뇌파는 뇌의 기능, 즉 활동 수준을 알려준다. 뇌파는 인간의 특정한 정서, 인지, 행동 상태를 반영한다. 인간의 정서, 인지, 행동의 다양한 상태의 변화는 뇌파의 변화로 관찰된다. 심지어 졸고 있는지..

2025. 3. 26. 11:49
카테고리 없음

불교에서 보는 감정과 부정 정서 다스리기

불교는 감정을 느낌 수(受)라 부른다 감정은 개념적인 명료한 인식 이전에 또는 인식과 무관하게 우리가 내적으로 느끼는 주관적 마음 상태를 말한다. 불교는 이러한 감정을 느낌 수(受)라고 부르는데, 수는 인간을 구성하는 5 온의 하나이다. 물리적 색(色)이 아닌 심리적 명(名)을 이루는 수•상•행•식 중 첫 번째 구성물이다. 느낌 수가 있고 나서 개념적 인식 작용인 지각 상(想)이 일어나고 이어 업을 짓는 의지 작용인 행(行)이 있게 된다.   그리고 수•상•행의 심리 작용을 총괄하는 앎인 식(識)이 성립한다.  불교의 12지 연기에 따르면 느낌 수는 그다음의 능동적 업(業)인 애(愛)와 취(取)를 일으키는 것이기도 하다. 과거 업의 과보로 미래 업을 일으키는 인연이 된다는 점에서, 느낌은 연속으로서의 윤..

2025. 3. 25. 21:27
카테고리 없음

불교와 뇌과학의 연관성 연구

미국신경과학회의 달라이 라마 초청으로 2003년 7월 미국의 유명한 대중 잡지인 『타임(Time)』은 명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표지 특집으로 실었다. 당시 서양 대중의 동양 명상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어 2005년에는 뇌과학 분야 학회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크고 권위 있는 전문 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of Neuroscience, SfN) 학술 대회에 티베트의 고승인 달라이 라마(Dalai Lama)가 초청되었는데 종교와 현대 과학의 만남이라는 측면에서 당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동양 불교의 대 고승이 서양 첨단 과학 연구 학회에 초청받아 강연을 하고, 세계적인 뇌과학자와 토론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학계는 물론 일반 대중에게도 큰 관심을 끌었다. 더구나 당시 독립운동이 일어나..

2025. 3. 25. 11:32
카테고리 없음

감정이란 무엇인가?

뇌과학 이론에 따르면 감정이란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감정이라는 단어를 특별한 어려움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감정이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깊이 생각하지 못했다. 최신 뇌과학 이론에 따르면 감정은 일종의 '뇌와 신체 사이의 의사소통 장애'로 정의할 수 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전에 들어본 적 없는 감정의 정의에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인식하건 하지 못하건 우리 뇌는 끊임없이 신체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처럼 뇌가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이유는 바로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신체 항상성의 불균형을 감지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다. 예를 들어 체내 에너지 수준이 떨어지게 되면 뇌는 배고픔이라는 '감정'을 만든다. 그리고 이 감정은 음식을 찾아 섭취하는 ..

2025. 3. 24. 23:59
카테고리 없음

깨달음의 상징이 왜 소였을까?

5) 소는 변환의 상징이다 의식과 무의식이 대극으로 대치되어 있는 한 의식이 갖는 긴장감은 말할 수 없이 크다. 왜냐하면 무의식은 자아의식에게 죽음을 연상시키는 공포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음의 불안은 극대화된다. 불안에 몰린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그것으로부터 도망치는 일이다. 온갖 중독 현상들은 불안한 자신을 잊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다. 조직적 종교 활동에 빠지는 일 또한 근원적으로 불안한 자신에 대한 보상이다.   너는 무의식에서 도망가기 위하여 종교와 더불어 그것을 시도하고 있다. 너는 종교를 너의 심혼의 일부에 대한 대치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교는 삶, 즉 양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삶의 완성이며 절정이며 열매인 것이다.   신경증은 심혼의 삶을 알리는 무의식의 경고라고 융은..

2025. 3. 24. 01:36
  • «
  • 1
  • ···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
  • 50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