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1 Page)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N
  • 홈
  • 태그
  •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불교와 힌두교

인도는 기원전 3,000년 전부터 고대 인류 문화가 번성했던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로 잘 알려져 있다. 기원전 1,500년경, 아리아인들은 페르시아를 거쳐 중앙아시아를 거쳐 현재의 파키스탄과 인도 사이의 분쟁 지역인 카슈미르를 거점으로 인도 북동부 지역을 점차 정복했다.  힌두(Hindu)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힌두(Hindū)'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페르시아어 '힌두(Hindhū)'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의 아리아인을 지칭한다. 즉, 힌두는 다른 나라에서 인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이 단어의 어원에는 인더스 문명을 만든 토착민을 정복하고 정착시킨 아리아인과 그들의 문화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아리아인들은 원래 유목민이었다. 혹독한 자연환경 속에서 하늘, 바람, 물, 불, 땅을 신격화하는 수많은 ..

2025. 4. 10. 07:46
카테고리 없음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는 믿음

인간은 손을 꽉 쥐고 태어난다. 신생아는 본능적으로 만지는 모든 것을 움켜쥐려고 한다. 이러한 움켜쥐는 반사 작용은 위험으로부터 도망치는 어머니를 붙잡고서야 살아남을 수 있었던 진화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인간은 위험으로 가득 찬 세상에서 혼자 살아남을 수 없기에, 자신을 보호하고 붙잡아 줄 강한 존재를 찾고자 하는 끊임없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믿음은 심리적인 집착이다. 의존하는 대상을 심리적으로 붙잡고 매달리는 행위이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지식, 돈과 부, 신과 종교적 교리를 붙잡는다. 문제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우리가 붙잡는 것이 그대로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과 우정에 대한 믿음이 깨졌을 때 배신감을 느낀다. 절대적인 진실이라고..

2025. 4. 10. 06:38
카테고리 없음

보리심을 완성하는 선정 수행 - 『입보살행론』

명상은 집중이라는 오해  서양에서는 위빠사나를 중심으로 한 명상 문화가 이미 자리 잡았는데, 왜 한국에서는 명상이 대중화되지 않을까요? 명상이 집중에 관한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명상이 집중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해입니다.첫째, 명상의 주류는 집중과 관찰로 나뉘기 때문에, 이러한 생각은 절반에 불과합니다.둘째, 집중은 관찰을 위한 디딤돌입니다. 비유하자면, 천체를 관찰하기 위해 망원경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바로 집중입니다. 관찰하지 않는 망원경은 필요 없습니다.명상이 대중화되어야 할 사람들은 산만한 초보자들입니다. 대부분 사티(주의력)가 부족합니다. 집중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억지로 집중하려고 하면 재미가 없습니다. 결과가 나오지 않..

2025. 4. 9. 16:01
카테고리 없음

욕망에서 서원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힘은 욕망인가? "욕망을 버려라!" "욕망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님들의 설법 속에서나, 절에 가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말이다. 그리고 불자들에게는 당연히 그래야 할 것처럼 들리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렇게 물어볼 수 있지 않을까?   "욕망을 버리고 나면 무슨 힘으로 살아가나요?"  일반적, 평균적인 사람에게는 욕망이 바로 삶을 끌고 나가는 힘이다.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욕망이야말로 사회 자체를 움직이는 힘이기도 하다. 자본주의의 근본 전제는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라고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문제는 존재하지도 않는 욕망을 끊임없이 만들어냄으로써 인간은 욕망의 노예가 되고,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것보다 몇 배나 더 소비함으로써 자연과 환경을 파괴한다는 ..

2025. 4. 9. 14:14
카테고리 없음

선불교에서 보는 욕망

진흙이 없으면 연꽃도 없다  따스한 봄바람 막힘없어 (春風無隔意) 붉은 꽃 하얀 꽃 도처에 피어난다 (紅白各隨生) 이 이치를 누가 능히 알겠는가 (此理誰能知) 이 도리 안다면 도는 더욱 밝으리 (答來是道明) - 만암 스님(1876~1957)  그대가 지혜와 자비를 갖춘 선의 스승이 되면 봄바람처럼 만나는 모든 이들을 깨달음으로 이끌고 꽃처럼 피어나게 할 것이다. 만약에 그대가 봄바람을 기다리는 나무가 된다면 그 마음은 어떠할까?  마음을 해체해 연구한 불교 스승들 『대승기신론』에는 '불교의 근원은 중생심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중생의 욕망이나 번뇌와 망상이 없으면 당연히 부처님의 가르침도 필요가 없다. 중생심이 있기에 팔만사천 법문과 많은 수행법이 있는 것이다.   욕망을 비롯한 번뇌심은 이미 2,600..

2025. 4. 8. 19:49
카테고리 없음

현대 불교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 참여

소극적 이미지에 대한 고찰 불교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언가 적극적 이미지보다는 소극적 이미지가 강한 편이다. 불교에 대한 일반적 인상은 적극적인 이미지, 곧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서 자기 목소리를 낸다는 쪽보다는 조금 소극적이지가 있다. 곧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세상에 은둔하고 한가롭게 지낸다는 인상이 강하다.   이처럼 불교가 소극적인 인상을 갖게 된 것은 불교사상의 전반적 기조에 근거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동안 불교문화에서 적극적인 면이 적게 나타난 것은 그 시대적 배경과도 일정 부분 관련이 있다. 전제적 왕권 시대에 활발한 사회 참여는 결국 정치에 참여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중앙 왕실에 좋지 않게 보이면 불교 교단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2025. 4. 8. 17:36
  • «
  • 1
  • ···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
  • 45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N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백두산 암반수(巖盤水)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